중국의 미술관/섬서성 역사박물관

3일 섬서성 역사 박물관 한나라 2

boriburuuu 2019. 11. 4. 22:26

류금동보수(鎏金銅輔首, gilt bronze door knockers), 한, 시안시 출토

호랑이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을 하고 있는 청동제 허리띠는 한반도 청동기시대 전국적으로 고루 출토되고 있는 유물이다. 당시 한반도와 한(漢)과의 교류을 보여주는 유물로 볼 수 있다.

01. 웅형대구(熊形帶鉤, belt-hook in shape of a bear), 한, 수집, 02. 호형대구(虎形帶鉤, belt-hook in tiger shape), 한, 안캉시 쉰양(旬阳)현 출토, 03. 류금독각수은대구(鎏金獨角獸銀帶鉤, gilt silver-inlaid belt-hook in unicorn shape), 한, 안캉시 쉰양(旬阳)현 출토, 04. 비파형수수착은대구(琵琶形獸獸錯銀帶鉤, Silver-inlaid belt-hook in shape of a Lute with beast image), 한, 수집

류금동호진(鎏金銅虎鎭, gilt bronze paper weight in tiger shape), 한, 수집

청동종(靑銅鐘, bronze chime bell)이다, 한, 시안시 출토

“東昏家동혼가” 동등(銅燈, bronze lamp with inscription), 한, 수집

 

 

삼족동등(三足銅燈, three-legged bronze lamp), 한, 수집

청동조구(靑銅灶九, bronze cooking ware), 한, 수집. 동절구, 공이(銅臼, 杵, bronze mortar and pestle), 한, 셴양시 싱핑(兴平)시 출토.

양기(梁器, Lacquer ware), 한, 센양시 싱핑(兴平)시 출토

칠이배(漆耳杯, lacquer Ear cup), 한, 수집. 인면어문분이다. 신석기 시대 항허를 중심으로 존속했던 양사오 문화를 대표하는 채색된 도자기 작품인데 대야처럼 생긴 주황색 도기로 사람 얼굴을 한 물고기가 그려져 있다고 한다. 애석하게도 무늬가 잘 보이질 않는다.

도박산로(陶博山爐, Pottery incense burner), 한, 시안시 출토.

흙, 돌, 금속으로 만든 다양한 제품에 옻칠을 하는 칠기(漆器) 역시 한(限)대에 기술적으로 크게 발전하여 널리 보급되었으며 지금도 다양한 형태의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자뢰(瓷罍, porcelain wine vessel), 한, 시안시 출토.

쌍구류금각명동편호(雙口鎏金刻銘銅扁壺, gilt double-mouth bronze pot with inscription), 한, 수집.

물고기를 물고가는 거위 형상의 청동등화 -한나라에서 만들어진 램프는 예를 들어 야생 거위 발, 버밀리언 버드, 소, 양 그리고 다른 상서로운 패턴 등 형태가 다양하다. 이 램프는 머리를 뒤로 젖히고 부리에 물고기를 들고 있는 서있는 구스의 전통적인 예술적 형태다. 램프 전체는 부리, 몸체, 램프 트레이, 램프 쉐이드 등 물고기가 있는 거위 머리와 긴 목의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위는 양쪽 날개가 두 개 있고, 위쪽 꼬리가 짧고, 물갈퀴가 두 개 있는 통통한 몸체를 가지고 있다. 램프 트레이는 거위 뒷면에 손잡이가 있고, 램프 쉐이드는 두 개의 곡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와 그늘은 선회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데, 이것은 앞유리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물고기 몸통, 거위 목 및 몸통은 속이 비어 있고 연기를 담기 위해 연결되어 있다. 모든 부품은 청소를 위해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발한 디자인은 기능과 형식의 완벽한 조합과 희귀한 예술 보물의 한 조각을 만든다.

류금동목관(鎏金銅沐缶, gilt bronze basin), 한, 수집

 

 

한대 고분 벽면이나 기둥 등의 구조물의 장식하고 있는 화상석(画像石)에는 다양한 그림 중 현실세계를 표현한 그림들을 볼 수 있다. 화상석의 대표적인 주제 중 하는 북방민족과의 전쟁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이외에도 실생활과 사후세계에서 풍요로운 생활을 기원하는 의미로 생산과 관련 그림들이 있다. 이에는 식량을 생산하는 농사, 베를 짜는 방적, 철을 생산하는 그림 등이 있다.

중국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봄의 신 “句芒(구망)”과 가을의 신 “蓐收(욕수)”를 표현하고 있다. 봄의 신은 쟁기질과 파종을 담당하며, 가을의 신은 수확과 곡물 저장을 담당한다. 한반도 청동기 문화를 대표하는 농경문 청동기의 유래를 추정할 수 있게 해 주는 부분이다.

추신秋神 “蓐收욕수” 화상석(Painted tomb stone with god of autumn image), 한, 위린시 신목(神木)시 출토.

춘신春神 “句芒구망” 화상석(painted tombstone with god of spring image), 한, 위린시 신목(神木)시 출토

차마출행도벽화(車馬出行圖壁畵, 복제품), 한, 위린시 딩볜(定边)현 출토. 한대 화상석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주제로 마차를 타고 출정하거나 외출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차마출행도화상석(車馬出行圖, Painted tomb stone showing chariots and horses in procession), 한, 위린시 쑤이더(绥德)현 출토

차마출행도화상성 뒷면, 말과 마차를 타고 전투를 벌이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녹유도루(綠釉陶樓, green-glazed pottery tower)다, 한, 수집 한대 홍농군(弘農郡) 양씨 가족묘에서 출토되었다. 이 도기로 만든 건물 모형은 당시 지주계층의 호화로운 생활과 농업경제 빠른 발전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건물 형태는 후일 불교가 전래되면서 석가모니 사리를 모시는 목탑의 형태에 반영된다.

 

배우용(俳優俑, pottery dancing figures), 한, 시안시 출토

동구(銅狗, bronze dog), 동록(銅鹿, bronze deer), 전국~서한, 위린(榆林) 선무(神木)시 출토.

마형투추동대식(馬形䞬錐銅帶飾, bronze belt plaque with open-worked horse pattern), 한, 수집, 호타상두문투추동대식(虎駝相斗紋䞬錐銅帶飾, bronze belt plaque with open-worked pattern of fighting-tiger-and-camel), 한, 시안시 장안구출토

 

 

 

 

 

 

 

청동 거울들이다. 청동거울은 고대 중국에서 기원하여 동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상왕조 말기에서 주왕조 때 청동제작 기술이 발전하면서 높은 수준의 제품이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지배계층의 권위를 나타내거가 주술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전국시대를 지나면서 거울의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유초협문경(四乳草叶紋鏡, bronze mirror with studs and leaf pattern), 사유사훼문경(四乳四虺紋鏡, bronze mirror with studs and coiled serpent pattern), 한, 수집.

채회차마문동경(采繪車麻紋銅鏡, painted bronze mirror with chariot and horse pattern).

“平都평도” 정(鼎, bronze tripod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origin), 한, 위린시 출토, ”家” 정(鼎, bronze tripod inscribed with character jia), 한, 바오지시 푸펑(扶风)현 출토.

왼쪽은 동언(銅甗, bronze cooking vessel)이다. 한, 바오지시 출토.

오른쪽은 산두편호(蒜頭扁壺, bronze jar with garlic-shaped mouth), 한, 셴양시 우궁(武功)현 출토.

쌍어동우(雙魚銅杅, bronze basin with double fish), 한, 시안시 출토, ”中私官중사관” 동종(銅鍾, Bronze container with inscription), 한, 수집.

“상방尙方”경(鏡, bronze mirror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manufacturing department), 한, 시안시 출토. ”宜子孙의자손” 경(鏡, bronze mirror with inscription expressing blessings for offspring), 한, 수집.

한나라 시대의 도용들이다.

셴양시 양가만(楊家灣)에서 발굴된 도기 병마용은 한대 전투 대형을 보여준다. 은 주요 전투부대는 10개 구덩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중 6 개는 기병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는 유목민의 영향을 받은 한나라 군대에서 기병대 역할을 보여준다.

한병마용(漢兵馬俑, pottery figures), 한, 셴양시 출토.

 

 

동자위(고슴도치모양, 銅刺蝟, Bronze hedgehog), 전국~서한, 선무(神木)시 출토.

 

 

마형투추동대식(馬形䞬錐銅帶飾, bronze belt plaque with open-worked horse pattern), 한, 수집, 호타상두문투추동대식(虎駝相斗紋䞬錐銅帶飾, bronze belt plaque with open-worked pattern of fighting-tiger-and-camel), 한, 시안시 장안구출토

은호(銀虎, Silver tiger), 전국~서한, 위린(榆林) 선무(神木)시 출토. 응호상두문동대식(鷹虎相斗紋銅帶飾, bronze belt plaque with fighting-eagle-and-tiger), 한, 수집

 

 

은와록(銀臥鹿, silver crouching deer)이다, 전국 ~ 한, 위린시 신무(神木)시 출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