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미술관/섬서성 역사박물관

예악의 나라 서주의 예기들

boriburuuu 2020. 10. 30. 13:52

주(周)가 강자로 성장하면서 상(商) 영토의 2/3에 해당하는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기원전 1046년 무왕(武王)은 상을 멸망시킨 후 서주(西周)를 건국하고 호경(鎬京)을 수도로 삼았다. 상(商)의 체제를 기반으로 서주는 후대 수천 년 동안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예악(禮樂)에 정립하였다. 한반도에도 철학, 문화, 정치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서주가 정립한 예악(禮樂)이 큰 영향을 끼쳤다. 예악을 상징하는 유물로는 제례를 비롯하여 각종 의식에 사용하는 예기(禮器)와 종묘제례악 등에 사용되는 악기 등을 들 수 있다.

11. 동정(銅鼎, Bronze tripod of sang), 상, 바오지(宝鸡)시 출토

뒤의 유물은 02. 왕작중희정(王作仲姬鼎, Bronze tripod (Ding) of Zhongji), 서주, 바오지(宝鸡)시 치산(岐山) 현 예촌(禮寸) 출토, 03. 루공두(鏤空豆, Open-worked High-stemmed Tray), 서주, 시안시 장안구 장가파촌(張家坡村) 출토.

앞의 유물은 05. 곡내과(曲內戈, dagger) 시안시 출토 , 06, 투조우문과(透雕羽紋戈, open-worked dagger with feather pattern),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술을 담는 용기인 호(壺)이다. 양쪽에 손잡이가 달려 있다.

왼쪽은 05. 산차부호(散車父壺, pots of San Che Fu), 서주, 바오지(宝鸡)시 푸핑(扶風)현 출토이고 오른쪽은 사람모양의 다리가 받치고 있는 형태의 접시.

06. 작종(柞鐘, Bronze Musical instuments of Zha), 서주, 바오지(宝鸡)시 푸핑(扶風)현 출토

01. 산백차부궤(散伯車父簋, food container of San Bo Ce Fu), 02. 산백차부궤(散伯車父簋, food container of San Bo Ce Fu), 서주, 바오지(宝鸡)시 푸핑(扶風)현 출토

 

 

09. 완문관공월(渦紋管銎鉞, Dagger Axe with spiral pattern), 박물관수집, 15. 용문사두과(龍紋四頭戈, Dagger withe four head and Dragon pattern), 서주, 시안시 출토

 

01. 함성부정(函星父鼎, Bronze tirpod of Han Huang Fu),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중국은 땅이 넓고 평지가 많아 이동과 전쟁에 마차가 많이 사용되었다. 전차(戰車)로 불리며 전쟁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당시 무력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네마리가 마차를 끌고 2명이 탑승했던 것으로 보인다. 1명은 마차를 운전하고 다른 1명이 적과 싸웠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사용되었던 마차에 사용되었던 청동으로 만든 각종 부속구들이 출토되고 있는데 상당히 높은 기술수준을 보여준다.  당시 많이 사용되었던 과(戈)라 불리는 창은 마차를 상대하기 위한 무기였다. 마차를 만드는데 사용했던 부속품들이다. 

 

 

15. 노방이개(魯方彝盖, Wine Vessel cover of Businessman Lu),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이 청동예기는 성공한 상인이 아버지에게 가족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받쳐졌다. 비문 “사업가”를 의미하는 문자 ‘贾고’가 새겨져 있어 당시 사회를 살펴볼 수 있는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이(彝)는 청동예기를 총칭하는 말로 그 용도가 명확하지 않은 예기로 보인다.

 

우준(牛尊, Ox-shaped Wine vessel), 서주, 바오지(宝鸡)시 치산(岐山)현 출토.

이 예기는 4개 다리를 하고 있는 황소 형태를 하고 있는 술잔인 준(尊)이다. 튀어 나온 혀가 술이 나오는 구멍으로 사용된다. 등에는 호랑이 모양을 하고 있는 뚜껑 손잡이가 있으며 본체와 연결되어 있다. 구름과 용이 새겨진 운용문(雲龍紋)과 생동감 있는 디자인을 서주시대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손꼽힌다.

 

일사방준(日巳方尊, Wine vessel with inscription of Dedicated Ri Ji), 서주, 바오지(宝鸡)시 푸핑(扶風)현 출토

01. 명차부호(冥車父壺, Pot of Ming Che Fu), 서주, 시안시 출토. 왼쪽은 02. 부을호(父乙壺, Jar of Fu Yi),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정(鼎, Tripod with of Ye),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04. 종중반(宗仲盤, Water Basin of Zong Zhong),서주, 시안시 출토

반(盤)은 청동예기 중 수기(水器)에 해당하며 손을 씻을 물을 받는데 사용한다. 한상의 귀가 달리고 다리가 붙어 있으며, 바닥에는 반룡문이나 어문(魚文)를 새긴다.

일사방리(日巳方彛, Wine vessel with insscription of Dedicatee Ri Ji), 서주, 바오지(宝鸡)시 푸핑(扶風)현 출토

이 청동 예기는 험상궂은 동물 얼굴 형태인 도철(饕餮) 문양으로 장식하여 웅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내부에는 18자의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천씨(千氏)가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기 위해 아버지 일사(日巳)의 무덤에 껴묻거리로 묻었다고 기록되어있다. 용도를 알 수 없어 리(彛)로 분류된 것으로 보인다.

양기호(陽其壺, Jar of Liang Qi), 서주, 바오지(宝鸡)시 푸팅(扶風)현 출토

리방이(盠方彛, Wine vessel of Li),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이기(彛器)는 청동제기를 일컫는 말이다. 이 청동예기는 용도를 알 수 없어 이(彛)라고 부른 것으로 보인다.

리방준(盠方尊, Wine vessel of officer Li),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

술을 따라 마시는 술잔인 준(尊)이다. 내부에는 108개 글자가 새겨 있는데, 목공(穆公)과 함께 리(盠)라는 사람이 국왕으로 부터 관복을 받고 군대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는 내용이다. 이는 서주(西周)의 군사 제도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총모양의 큰 청동기다.

 

 

타화(它盉, Water vessel of Ta),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탸(它)는 청동예가 안쪽에 새겨진 소유자의 이름이다. 화(盉)는 입과 손잡이와 3발이 달힌 형태의 청동예기이다. 술에 약초 등 조미료를 섞는 기능을 하는 용기로 춘추시대까지사용되었다고 한다. 한반도에서 볼 수 있는 초두(鐎斗)가 그 기능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보통 술을 따르는 용기라고 하는데 박물관에서는 물을 따르는 용기로 설명되어 있다.

 

 

병유(丙卣, wine vessel with inscription of Bing), 서주, 바오지(宝鸡)시 치산(岐山)현 출토.

 

일사굉(日巳觥, Wine vessel with inscription of Dedicated Ri Ji), 서주, 바오지(宝鸡)시 푸핑(扶風)현 출토

굉(觥)은 상(商)에서 주(周)로 교체되는 시기에 사용된 주기(酒器)로 술을 섞을 떄 사용되었다. 이 용기에는 용, 호랑이, 불사조 등 신성한 동물 등을 장식된 사각형 몸통과 덮개로 구성된다. 신비롭고 독특한 디자인과 대담한 패턴들이 조화를 이루어 많은 걸작들을 남겼다.

10. 재수궤(宰獸簋, Ritual Ware of Zai Shou),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주례(周禮)에 따라 재상이 사용할 수 있는 예기이다. 129자의 명문이 새겨졌는데 주왕에 의해 재상으로 공식 임명되고 임명의식 거행했다는 내용이다 있다. 고대 중국에서 있었던 관직임명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이다. 궤(簋)는 곡물을 담는 식기(食器)로 제사에 주로 사용된다. 둥근 사발형으로 손잡이 달려 있다. 주(周)대 이후 정(鼎)과 함께 가장 중요시 된 제기이다.

08. 경숙수(京叔盨, Food container of Jing Shu), 서주, 수집

수(盨)는 접시처럼 넓적한 모양으로 발이 4개 있다. 곡식을 담는 그릇으로 서주 후기에 잠깐 사용되었다.

왼쪽은 07. 차희유(車姬卣, Wine Vessel with Inscripstion on Dedicatee Feng Ji),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유(卣)는 고대 중국에서 사용된 청동예기로 술을 따르는 용기이다. 외형상 호(壺)와 비슷하며 뚜껑이 있다.

오른쪽은 06. 중벌부언(仲伐父甗, Cooking Vessel of Zhong Fa Fu), 서주, 바오지(宝鸡)시 출토. 언(甗)은 청동예기 중 곡물을 찧는데 사용했던 식기(食器)이다. 냄비인 ‘역(鬲)’ 위에 증(甑,시루)을 올려 놓은 것도 있고, 뗼 수 있는 것도 있다.

05. 종중이(宗仲匜, Ladle of Zong Zhong),서주, 시안시 출토.

이(匜)는 청동예기 중 물을 따르는 용도로 사용된 수기(水器)에 해당한다. 물을 따르는 긴 구멍이 있는 타원형의 그릇으로 손잡이가 있는 것도 있고, 네발이 달린 것도 있다.

 

예기 중 술잔에 해당한 작(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