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 이후 중국에서는 자기산업과 무역이 급속히 발전했다. 당 중기 이후 차(茶)가 보편화되면서 차를 마시는 자기에 대한 수요와 함께 수출 수요도 크게 늘었다. 허베이성에서 생산된 백자와 저장성 월주요 청자는 당시 최고의 도자기로 손꼽혔다.
33. 백자화구호(白瓷花口壺, white porcelain flask), 당, 수집
45. 비색자오곡화구반(秘色瓷五曲花口盘, five-lobed celadon plate), 당, 바오지시 출토
왼쪽 아래의 도기들은 46. 문태첩면수우(紋胎貼面水盂, Neriage water container), 당, 셴양시 출토, 47. 문태삼족관(紋胎三足罐, Three-legged neriage jar), 당, 수집, 이 항아리들은 당나라 때 도기와 자기 제작에 사용되었던 문태(紋胎)기법으로 장식되었다. 당삼채처럼 저온에서 구워졌지만 희색과 갈색 점토조각으로 식물과 물결문양을 만들고 있다. 복잡하고 힘든 제작방식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는 않은 기법이다.
아래 가운데 노란 항아리는 48. 문태관(紋胎罐, Neriage jar)이다, 당, 위린시 출토
왼쪽 위는 49. 흑유봉수호(黑釉鳳首壺, black-glazed kettle with phoenix-shaped mouth), 당, 시안시 출토, 50. 흑유과릉형집호(黑釉瓜棱形執壺, melon-shaped black-glazed kettle with prism), 당, 동촨시 출토
오른쪽 아래는 49. 흑유봉수호(黑釉鳳首壺, black-glazed kettle with phoenix-shaped mouth), 당, 시안시 출토, 50. 흑유과릉형집호(黑釉瓜棱形執壺, melon-shaped black-glazed kettle with prism), 당, 동촨시 출토. 53. 소태흑화설(素胎黑花碟, plain black-glazed plate with floral modif), 당, 동촨시 출토,
오른쪽 위는 54. 소태흑화발(素胎黑花鉢, plain black-glazed bowl with floral motif), 당, 동촨시 출토, 55. 흑유사녀병(黑釉仕女甁, black-glazed vase with maid pattern), 당, 동촨시 출토.
술을 담는 은제 용기는 당나라 중기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중국과 서역의 음주방식이 섞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면에 새겨진 글씨는 그릇 소유자와 일련번호 등을 표시하고 있다. 1. “宣微酒坊선미주방” 은주주(銀酒注, Silver wine container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ownership), 당, 시안시 출토, 2. “宣微酒坊선미주방” 은완(銀碗, Silver bowl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ownership), 당, 퉁촨시 출토
4. 류금홍안절지화문은이(鎏金鴻雁折枝花紋銀匜, gilt-silver water vessel with wild goose and floral motif), 당, 시안시 출토
10. 삼채전거(三彩錢柜, Tri-colored pottery money locker), 당, 시안시 출토
천안용간은병에는 제조장소, 시간, 기능, 무게, 제작자 이름 등을 나타내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는 당 현종시기 영남(嶺南)지방의 과세체계를 알 수 있게 해준다. ”건중이년감판은과” 은정에도 제조부서, 시간, 무게, 사용목적 등을 나타내는 글자가 새겨져 이다. 글자에 따르면 큰 재난 이후 영남(嶺南) 지방의 세금을 절반으로 줄였으며 그 증거로 이것의 무게는 약 2.1 kg이다. 11. 천안용간은병(洊安庸澗銀甁, Silver disc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manufacturing details), 당, 시안시 출토. 12. 천보굴과은정(天寶窟淉銀鋌, Silver ingot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manufacturing detail), 당, 시안시 출토, 13. 영남도세상은정(嶺南道稅商銀鋌, Silver ingot with inscription), 당, 시안시 출토, 14. 하동은정(賀冬銀鋌, Silver ingot with inscription), 당, 시안시 출토
15. “建中二年減判銀淉건중이년감판은과” 은정(Silver ingot with inscription), 당, 수집
3. 수오수(隋五銖), 수, 수집, 4. 개원통보(개원통보), 당, 수집, 5. 회창개원통보(會昌開元通寶), 당, 수집. 8. 순천원보(順天元寶), 당, 수집, 9. 득일원보(得一元寶), 당, 수집
<장안서시도長安西市圖> 중 일부. 당시 번창했던 시장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수당시대 복식은 크게 제복(祭服), 조복(朝服), 관복(官服), 일상복(日常服)으로 구분된다. 일상복을 제외한 복식들은 한대(漢代) 이래 예법으로 자리잡은 전통적인 예복이다. 반면에 일상복은 스타일은 북조(北朝)와 북방유목민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옷의 색깔, 패턴, 장신구 등은 사회계층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다. 수당시대의 복식은 인근 국가와 민족의 복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통일신라 이래 한반도의 복식은 당나라 복식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채회유도첩금문리요(彩繪釉陶貼金文吏俑, painted gold-leaf civil officer figure), 당, 센양시 출토
채회유도첩금무관용(彩繪釉陶貼金武官俑, painted gold-leaf military officer figure), 당, 센양시 출토
2. 채회남입용(彩繪男立俑, painted standing male figures), 당, 웨이난시 출토
9. 삼채여입용(三彩女立俑, Tri-colored pottery standing female figure), 당, 시안시 출토
10. 채회피백여입용(彩繪披帛女立俑, painted standing female figure with cape on shoulder), 당, 시안시 출토
둥근치마는 전형적인 당(唐) 복식이다.허리가 높으면 다리가 길게 보이게 된다. 어깨망토는 그리스.로마에서 유래한 것으로 당대 여성들에게 큰 인기가 있었다. 이런 종류의 이미지는 사산조 금은기 유물이나 벽화와 함께 발견된다.
3. 삼채봉방함남장여용(三彩捧方函男裝女俑, Tri-colored pottery female figure in Man’s clothes holding box.), 당, 센양시 출토, 4. 채회대유모여입용(彩繪戴帷帽女立俑, painted standing female figure in veiled Hat), 수, 시안시 출토, 5. 삼채남장여입용(三彩男裝女立俑, Tri-colored pottery female figure in Man’s clothes.) 당, 시안시 출토, 6. 채회호복여입용(彩繪胡服女立俑, painted female figure in Huren Dress), 당, 센양시 출토
1. 채회유모여기용(彩繪帷帽女騎俑, painted female figure on horseback in veiled hat), 당, 셴양시 출토.
채회타마구용(彩繪打馬球俑, painted polo players), 당, 시안시 출토
채회타마구용(彩繪打馬球俑, painted polo players), 당, 시안시 출토
1. 삼채투호(三彩投壺, Tri-colored pottery pitch pot), 당, 셴양시 출토
3. 삼채훈(三彩壎, Tri-colored pottery wind instrument), 당, 시안시 출토
10. 류금각화동양진(鎏金刻花銅羊鎭, goat-shaped gilt bronze paper weight), 당, 시안시 출토. 11. 이수형한백옥진(异獸漢白玉鎭, White marble paperweight in shape of mythical creature), 당, 시안시 출토
11. 삼채기마악용(三彩騎馬樂俑, Tri-colored pottery of horse-riding performers), 당, 시안시 출토
6. 채회유도악무여용(彩繪釉陶樂舞女俑, painted glazed pottery female dancer figure), 셴양시 출토, 당
1. 도설창용(陶說唱俑, Pottery figures in performance), 당, 시안시 출토
'중국의 미술관 > 섬서성 역사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악의 나라 서주의 예기들 (0) | 2020.10.30 |
---|---|
도자기와 도용들. 장신구 (0) | 2020.10.29 |
당나라 동경과 당삼채, 금제품 등 (0) | 2020.10.29 |
섬서성 역사박물관 수당 (0) | 2020.10.29 |
3일 섬서성 역사 박물관 특별 전시관(당나라 유물) (0) | 2019.11.04 |